손기정체육공원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손기정로 101-4 (만리동2가) 손기정공원
손기정체육공원은 손기정 선수가 1936년 독일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딴 것을 기념하기 위해 출신학교인 양정 중고등학교를 이전한 후 만든 체육공원이다.
1987년 9월 조성되었는데 2020년에 러닝을 중심으로 하는 다채로운 문화 체육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큰 공간을 차지하며 축구장으로 이용되던 운동장을 마라톤과 보행이 가능한 트랙으로 조성해서 걷고 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했다. 이 운동장은 축구만을 위한 공간을 아닌 마라톤 광장, 야외 요가, 플리마켓 장터 등 세부 프로그램이 요일별, 시간별 운영되는 문화, 체육 복합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손기정체육공원에는 러닝트랙, 다목적운동장, 어린이 도서관, 어린이 놀이터, 게이트볼장 등의 시설이 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체육공원 내 신설된 손기정 어린이 도서관은 공원 남측 입구에 자리한 공영주차장 건물 일부를 활용해 조성된 것이다. 이 밖에도 러닝센터와 손기정 기념관이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313-7985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입 장 료
무료
◎ 이용가능시설
광장 / 러닝트랙 / 도서관 / 놀이터 / 게이트볼장
◎ 화장실
있음(남녀 구분)
◎ 주위 관광 정보
⊙ 손기정문화도서관
- 홈페이지
https://www.junggulib.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손기정로 101-3 손기정공원
손기정문화도서관은 손기정기념관 뒷편에 있는 도서관이다. 손기정문화도서관은 붉은 벽돌로 지어진 건물로 외관부터 감성적이고 예뻐 찾는 사람들이 많다. 도서관 앞의 작은 산책로는 '기억을 걷는 시간'이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출품작이다. 입구에는 '물의 정원'이라는 이름의 연못과 작은 분수가 있는데 이곳을 배경으로 사진을 많이 찍는다. 붉은 벽을 감싸는 담쟁이와 작품들로 꾸며진 정원과 외관은 구경하는 재미가 있다. 내부도 외관만큼 감각적이고 분위기 좋게 꾸며져 있어 책을 읽기에도 휴식을 하기에도 좋다. 다양한 종류의 정기간행물도 있어 관심있는 분야의 잡지 등을 볼 수 있다. 손기정문화도서관은 각 분야에 어울리게 꾸며진 공간을 감상하는 즐거움이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손기정기념관
- 홈페이지
http://www.sonkeechung.com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손기정로 101 (만리동2가)
손기정 기념관은 나라를 잃은 어려운 시절, 세계를 제패해 우리 민족의 긍지를 높여준 손기정 선수(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의 뜻을 기리고, 국제적인 스포츠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고자 1918년 만리동에 건립된 손기정 선수(21회 졸업)의 모교인 양정의숙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손기정 탄생 100주년, 2012년 10월 14일에 개관하였다.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을 이뤄내기까지의 손기정 선수 일대기 중심의 콘텐츠 연출 및 민족과 국가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일화 중심의 전시기획과 관람객 참여 요소를 곳곳에 배치하여 전시의 이해와 몰입도를 높인다. 기존의 기념관과는 차별화된 애니메이션 영상과 참여 게임을 통해 성인은 물론 어린이 관람객에게 즐겁고 풍성한 볼거리 및 바른 역사인식의 기회를 제공한다.
⊙ 콤바크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재로 193 (만리동1가)
콤바크는 만리동 서울 끝자락에 위치한 양식집이다. 5m의 탁 트인 높은 층고와 따뜻한 우드톤의 인테리어가 어우러져 있는 공간이다. 낮에는 커피와 브런치를, 저녁에는 분위기 있는 조명 아래에서 와인과 디너를 즐길 수 있다. 대표메뉴는 콤바크 플레터이며, 새우 레몬 허브 파스타, 트러플 감자뇨끼, 프렌치토스트 등 다양한 브런치와 식사가 준비되어 있다.
⊙ 서울로PH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재로 211 (만리동1가) 11층 1호
서울로 PH(Patagonia House) 이름은 서울로7017과 실내 주요석재인 파타고니아석에서 나온 이름으로 파타고니아 석재 무늬가 험준한 산악 지형과 만년 빙하를 남미 파타고니아를 연상시키는 이태리 천연석 입니다.
11층: 프리미엄 라운지(레스토랑)
12층: 올데이 카페
13층: 루프탑 라운지
네이버 예약 우대 좌석
유선 예약 문의 02 365 2111
층별 대관 문의 010 2687 8487
No Pet, No Kids
09:00-22:00 No Break Time
실로암빌딩 주차장 이용(도보 2분 / 주차비 지원)
서울역, 남산타워, 서울로7017 시티뷰를 바라보며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유즈라멘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재로 217 경김회관
유즈라멘은 서울역 15번 출구에서 도보 400m 거리에 있는 일본식 라멘 전문점이다.
유즈시오라멘과 매운 유즈시오라멘이 대표메뉴이다. 그 외에도 유즈쇼유라멘, 유즈 츠케멘, 튀김 김치만두, 치킨가라아게 등의 메뉴를 맛볼 수 있다.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방부제를 넣지 않는 건강한 면을 매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신선한 향미유와 이베리코 차슈를 재료로 쓴다.
⊙ 이조칼국수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103길 35
이조칼국수는 서울 중구에 위치하고 있다. 매일 같이 진하게 우린 사골 육수를 사용하여 칼국수를 끓여낸다. 특히 쫄깃한 면발이 입맛을 사로잡는다. 칼국수와의 조합이 일품인 겉절이는 직접 담가서 제공한다. 칼국수뿐만 아니라 회덮밥도식당 인기 메뉴이다. 감칠맛 가득한 고추장맛이 일품이다. 이 외에도 왕만두, 떡(만두)국, 알밥과 같은 식사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 서울 약현성당
- 홈페이지
http://www.yakhyeon.or.kr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47-1 (중림동)
약현(藥峴) 성당(聖堂)은 길이 약 32m, 너비가 12m로 이루어진 396m²(120여 평)의 소규모 성당 건축물이다. 이 건물은 1886년 고종 23년 종교의 자유가 허용된 이후 천주교를 믿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자 명동 성당 아래 공소(公所)로 설립되었다. 1891년 당시 명동 성당의 주임 신부였던 두세(Doucet) 신부가 합동 (蛤洞)에 대지를 마련하고, 부주교인 코스트(Coste) 신부가 설계와 시공감독을 맡아 그 다음해인 1892년에 약현 성당이 탄생하였다. 이 성당이 위치한 곳은 예전에 약초를 재배했던 지역으로 ‘약초 밭이 있는 고개’ 라는 뜻의 약전현(藥田峴)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이후에 줄여서 ‘약현’이라고 했는데, 서울 만리동에서 서울역으로 넘어오는 고개 부근의 지명으로 사용되어 약현성당이란 명칭이 붙여진 것이다.
이 성당은 우리 나라 최초로 건립된 서양식 성당 건축물로 주목된다. 또한 고딕적인 요소를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반원형의 둔중한 아치 형태 지붕과 창의 면적을 좁게 나타내는 등 전체적으로 로마네스크 양식을 갖는 벽돌조 건물이다. 길이 약 32m, 너비 12m의 십자형 평면 구조이며 비교적 소규모의 성당이다.옆면 창은 처마 높이가 낮아 뾰족아치가 아닌 원형아치로 되어 있으나, 앞면의 출입구와 옆면 좌우로 돌출한 출입구 창 부분이 각기 뾰족아치를 이루어 고딕 모양을 하고 있다.
⊙ 고촌홀(제약박물관)
- 홈페이지
http://www.kochonhall.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8
‘고촌’은 종근당 창업자 고 이종근 회장의 호에서 따왔다. 종근당의 창업전시관에서 고촌의 일생, 종근당의 발생 과정, 국내외 의약사를 살펴보고, 도전과 나눔 정신을 체험해 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촌 선생이 세계 각국에서 수집한 종들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종이미지의 체험 전시관이 독특하다.
⊙ 옛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 홈페이지
https://culture.seoul.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3 (서계동)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은 국립극단 연극 공연장으로 용산구 서계동에 위치한 공연장으로 푸른 잔디 위에 세워진 강렬한 빨간 벽돌 건물이다.
전형적인 [ㄷ]자 프로시니엄 무대를 갖추고 객석 운영은 200~400석까지 변화가 가능하며 무대의 높낮이도 유동적이다.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마당극 형태에서 프로시니엄, 대칭 등 자유로운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실험적 극장이다.
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가 2026년 12월에 서계동 열린문화공간에 연극 중심의 복합문화시설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공사가 진행되는 3년간(2023년 8월부터) 기존에 사용하던 명동예술극장과 새롭게 임대한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으로 이동하여 운영된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마포구] 망원정지 (4) | 2025.01.03 |
---|---|
[서울 서대문구] 고촌홀(제약박물관) (4) | 2025.01.03 |
[서울 강서구] 마곡나루근린공원 (4) | 2024.12.24 |
[서울 용산구] 용산공원 부분개방부지 (1) | 2024.12.24 |
[서울 강서구] 마곡광장 (0)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