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경기도 고양시] 월산대군사당

반응형

월산대군사당


- 홈페이지
https://www.goyang.go.kr/visitgoyang/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 1243-39

월산대군은 조선 9대 임금인 성종의 친형으로 이름은 이정(1454~1488), 호는 풍월정이다. 문장이 매우 뛰어나 중국에까지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성종은 자주 월산대군의 집에 방문했는데, 그의 집에 있는 정자 이름을 ‘풍월정(風月亭)’이라 지어주었다고 한다. 성종에 대한 충성과 우애가 매우 깊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시호는 효문공이다. 사당 옆에는 월산대군의 묘가 있다. 사당은 1693년(숙종 19) 이전에 건립되었으며, 현재의 건물들은 1786년(정조 10)에 이미 있던 건물들을 다시 지은 것이다. 이곳에 영조가 직접 석광사란 현판을 하사하였으며, 정조와 순조 때에는 조정에서 신하가 나와 왕을 대신하여 제사를 올리기도 하였다. 현재 사당 내에는 신주를 옮길 때 사용하던 작은 가마인 요어가 남아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8075-3390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불가





◎ 입 장 료
무료





고양_월산대군사당 (2)고양_월산대군사당 (3)고양_월산대군사당 (4)고양_월산대군사당 (6)고양_월산대군사당 (7)고양_월산대군사당 (5)





◎ 주위 관광 정보

⊙ 신원체육공원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254번길 11 (신원동)

신원체육공원은 인조잔디구장과 야외 운동기구, 잘 정비된 산책길 등이 있다. 주로 축구 연습이나 축구 경기를 위해 주민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인조잔디구장이 잘 꾸며져 있다. 고양 도시 관리공단에서 관리하는 곳으로 인조잔디구장의 경우 축구 경기 후 관리자가 필드 전체를 청소하고 시설을 점검한다. 인조잔디구장의 규격은 축구장 정 사이즈는 아닌 듯하나 인조잔디가 잘 되어 있어서 넘어지더라도 다칠 염려도 거의 없이 안전하다.
저녁시간대에 누구나 와서 축구를 할 수 있는 곳이며 경기를 위해 대관이 필요할 경우 미리 예약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직장인들의 경우 퇴근 후 평일 저녁에 구장에 불을 훤히 켜놓고 시원하고 안전하게 축구를 즐기는 곳으로 축구인들에게 사랑받는 장소이다. 친구들, 직장동료들, 동네 주민들과 하루의 피로를 열심히 뛰면서 화끈하게 태울 수 있는 곳이다.

⊙ 이태리한옥


- 홈페이지
https://italyhanok2020.modoo.at/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283번길 27

이태리 한옥은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에 있는 카페 겸 레스토랑이다. 캠핑과 바비큐도 가능해서 캠핑 카페로도 소문난 곳이다. 마당에는 약수터가 있어 여름에는 마치 계곡에 온 것처럼 발을 담그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지하 100m 수질 1등급의 깨끗한 약수로 커피를 내려준다. 브런치와 카페 음료를 판매하는 곳으로 금요일과 토요일은 바비큐 공간을 대여한다. 캠핑은 파쇄석 1동부터 7동, 잔디 흙으로 된 9동부터 11동 사이트가 있으며, 네이버를 통해 2주 전에 예약을 받는다. 공간 대여로 가족 행사나 모임도 가능하다. 내부는 한옥 느낌의 인테리어로 꾸며 놓아 감성이 묻어나는 공간이다. 마당 가운데로 냇물처럼 흐르는 약수가 인상적이다, 저녁에는 마당에 모닥불을 피운다.

⊙ 작은숲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121번길 271

작은 숲 카페는 관산동에 있는 힐링하기 좋은 숲 속 카페다. 찾아가는 길은 구불구불 외길이고 카페 도착하기 전 짧은 거리는 심지어 비포장도로다. 카페 입구에 다다르면 메타세쿼이아 길이 반겨준다. 카페에 들어서면 통창을 통해서 작은 숲의 초록색이 사방으로 보이고 채광이 환하다. 넓은 매장 곳곳에 작은 소품을 장식해 놓았는데 수동 커피 그라인더와 커피잔 등을 보기 좋게 배치해 놓았다. 사진 찍기에 적당한 조명이라 사진도 찍고 여유롭게 구경하며 시간 보내기 좋다. 피자 종류와 와플, 커피와 허브티 등을 판매한다.

⊙ 나비공간


- 홈페이지
https://foodbest0319680742.modoo.at/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 1146 (원당동)

나비를 테마로 한 독특한 분위기의 카페다. 인테리어 장식도 나비표본으로 되어 있으며, 나비와 희귀 곤충 수집 및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커피와 음료 뿐만 아니라 해물라이스, 피자돈까스 등의 식사도 겸할 수 있는 곳이다.

⊙ 파인테라스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_pineterrace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245번길 263 1,2층

파인테라스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대형 베이커리 카페이다. 바로 옆에 패밀리워터파크가 있어 물놀이를 나온 가족이나 어린이 모임 전후에 들리는 손님들이 많고 포장해가는 고객들도 많은 곳이다. 대표 메뉴는 홍국쌀과 찹쌀로 만든 홍국식빵, 대파를 넣은 대파 빵, 짭짤 단백의 소금 빵, 감자샐러드와 갈릭 소스의 육 쪽 감자 빵, 한 겹씩 뜯어먹는 몽블랑이다. 빵마다 나오는 시간이 달라 시간을 맞춰 가면 갓 구운 빵을 즐길 수 있다. 1층에는 주문 데스크와 좌석이 있고, 2층에는 실내석과 테라스가 있으며 2층 테라스에서는 공릉천 뷰를 즐길 수 있다. 전용 주차장이 있어 주차하기 편리하다.

⊙ 뉴코리아 컨트리클럽


- 홈페이지
http://www.newkoreacc.co.kr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2로 57 (신원동)

뉴코리아 컨트리클럽은 지난 1966년 개장 이래 40여 년간 명문 골프장으로서의 위치를 지켜오며, 한국 골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지난 시간 동안의 역사와 전통에 최근 대대적인 개선 과정을 더하여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 수준의 골프장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현대적인 시설과 품격 높은 서비스, 수십 년간 자라온 자연목 속에서 수도 서울의 명물인 북한산을 마주하며 느끼는 최고의 자연환경은 당 클럽을 찾는 여러 고객들께 환상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공릉천


- 홈페이지
https://www.goyang.go.kr/visitgoyang/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통일로 695 (관산동)

공릉천이 시작되는 곳은 덕양구 고양동, 신도동과 양주시 장흥면의 경계선이며, 관산동, 사리현동, 지영동을 거쳐 파주시 교하면에서 한강과 만난다. 총길이는 30.5㎞이며, 파주 삼릉에 있는 공릉의 명칭을 따서 공릉천으로 부른다. 주변의 퇴적 평지대는 화훼단지와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경기도 양주시, 고양시, 파주시에 흐르는 하천으로 한강의 제1지류이다. 힘차게 내달리는 공릉천의 물소리를 따라 걷다 보면 백로와 기러기떼 등 겨울 철새와 원앙, 비오리 등 천연기념물을 쉽게 만날 수 있다.

⊙ 필리핀군 참전기념비

- 홈페이지
http://www.goyang.go.kr/visitgoyang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양로 5 (관산동)

필리핀군 참전기념비는 1974년 국방부에서 건립한 기념물로, 한국전쟁 때 우리나라의 자유수호를 위해 참전한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고 후손들에게 뜻을 전하기 위해 세워졌다. 필리핀군은 아시아국 최초로 우리나라를 위해 1000여 명이 넘는 군을 파병해 주었고 미국,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지상군을 파병해 준 나라이다. 1950년 9월 19일에 참전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고, 정전 이후에도 한국의 재건을 위해 많은 지원을 해주었다.
1,200평의 대지 위에 기단 높이 4.5m, 비 높이 17m, 동상 높이 3m의 비를 세웠고 부조에 조각된 50명의 모습과 표정은 절망과 좌절을 딛고 일어난 우리 국민의 자유와 평화를 추구하는 모습이며 탑신 전면의 부조는 필리핀 고유 민속 문화를 표현한 것이다. 비문에는 ‘태양같이 밝고 불타는 정열의 기상을 지닌 삼성좌의 용사들! 한국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피 흘린 488명의 고귀한 영혼 위에 하나님의 가호가 영원하리라’라고 쓰여있다. 필리핀군 참전 기념비는 고양 누리길 11코스 종점이자 12코스 시작점이니 누리길을 거닐면서 그곳에 들려 그들의 명복을 빌고 고마운 마음을 전할 수 있다.

⊙ 고양 서삼릉(장경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 홈페이지
http://royaltombs.cha.go.kr/

-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삼릉길 233-126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사적인 고양 서삼릉(西三陵)은 희릉(禧陵), 효릉(孝陵), 예릉(睿陵)의 3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종 계비 장경왕후의 무덤인 희릉이 처음 들어선 이후 인종과 인종비, 인성왕후의 무덤 효릉, 철종과 철종비 철인왕후의 무덤인 예릉이 조성되면서 3릉이 한양의 서쪽에 있다 하여 [서삼릉]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서삼릉에는 3기의 왕릉 이외에도 3기의 원과 1묘, 왕자, 공주, 후궁 등의 묘 47기, 태실 54기가 자리 잡고 있다. 1665년(인조 23) 소현세자가 죽자 소현세자를 이곳에 안장하고 소현묘(昭顯廟)라고 칭하였으나 1870(고종 7)에는 소경원(昭慶園)으로 개호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의해 조선 왕실의 태실, 왕자, 공주, 후궁 등의 묘가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해방 이후에 명종 후궁 경빈 이씨의 묘 외 6기의 묘를 옮겨왔다.
1944년에는 정조의 장남 문효세자의 묘인 효창원(孝昌園)이, 1949년에는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장남 의소세손의 묘 의령원(懿寧園)이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1969년에는 성종 폐비 윤씨의 회묘(懷墓)가 서삼릉으로 옮겨왔다.
서삼릉 능역에는 의친왕과 의친왕의 모친 덕수 장씨의 묘도 있었으나 1996년 의친왕 묘가, 2009년엔 귀인 장씨(의친왕의 모친)의 묘가 서삼릉에서 홍유릉 경역으로 천장하여 서삼릉은 현재의 3릉 3원 1묘 및 왕자·공주·후궁 등의 묘 47기, 태실 54기의 구성을 이루게 되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