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

[대구 군위군] 효령사(장군당)

반응형

효령사(장군당)


- 홈페이지
https://www.gunwi.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장군당1길 35-1

효령사는 김유신의 삼국통일을 이룩한 업적을 기리어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고, 또 삼국통일 자체의 의미를 후세에 높이 새기게 하는 곳과 관련이 있다. 아울러 함께 봉안하고 있는 소정방, 이무 등이 중국의 당인임을 볼 때 당시의 전반적인 시대배경을 알 수 있다. 또한 야사에 의하면 김유신, 소정방, 이무의 삼장군이 지금의 장군동 근처에서 회동하게 되었으며, 장군봉에 지휘소를 세우고 기거하면서 백제를 정벌할 작전을 수립하여 백제를 치고 대업을 이룬 뒤 삼장군은 다시 효령에 들러 장군봉에 올라 "이제 삼국 통합이 되었으니 안심하고 살아라"라고 주민에게 말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고려말 사공씨 가운데 한 사람이 나라에 상징하여 나라의 명으로 사당을 세워 그 이름을 장군당이라 하고, 매년 정초 상원과 오월 단오에 관민이 합심하여 제례를 올리게 되었다.

(출처 : 군위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383-2181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요금 (무료)





◎ 입 장 료
무료





대구군위_효령사(장군당) (6)대구군위_효령사(장군당) (2)대구군위_효령사(장군당) (3)대구군위_효령사(장군당) (4)대구군위_효령사(장군당) (5)





◎ 주위 관광 정보

⊙ 제동서원


- 홈페이지
www.gunwi.go.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장군당1길 35

당나라 장군 이무 (李茂), 김유신 (金庾信 , 595~673년), 소정방 (蘇定方, 592~667년) 등 세 장군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으며, 김해 김씨 문중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다. 김해 김씨 후손들이 다시 사당을 지어 보존해 왔으나, 건물이 너무 낡아 1946년 옛 사당터에 새로운 서원을 창건하였다. 건물은 사당 숭무전 (崇武殿)을 비롯하여 총 3동이 있으며, 해마다 단오절(음력 5월 5일)에 제사를 올린다. 서원 뒤쪽으로 계단을 따라 100m 올라 가면 1칸 정도의 작은 장군당이 있으며, 안에는 장군당 유허비가 남아 있다.

(출처 : 군위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 홈페이지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http://mnh.knu.ac.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경북대로 2228

경북대자연사박물관은 대구 군위군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자연계를 이루고 있는 동․식물, 광물뿐만 아니라 지학과 인류의 역사 등 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 연구, 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중에게 자연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다. 또한 지역 국립대학의 부속기관으로서 사회 환원을 위한 역할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전시관은 물속생물관, 야생동물관, 공룡화석관, 지질암석관 등 다양한 자연계가 전시되어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참품한우

- 홈페이지
http://charmpoom.com/

-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경북대로 1701-3

경북 칠곡군 가산면에 있는 참품한우타운은 경북 지역 17개 모든 축협과 경상북도의 출자·지원으로 설립된 경상북도 광역 브랜드로, 현재 농협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곳의 특징은 다른 식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부위의 한우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입구에 위치한 정육 판매장에서 기호에 따라 고기를 구매한 후 식당에서 구워 먹는 정육식당의 시스템으로 운영중이다. 테이블에 앉으면 고기의 식감을 해치지 않는 각종 나물과 반찬들이 상차림으로 나온다. 중앙고속도로 가산IC가 가깝게 자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좋다. 주변에 팔공산도립공원과 송림사, 가산산성 등이 가까워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 기러기농장가든


- 홈페이지
http://0543826337.modoo.at

- 기러기농장가든
054-382-6337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용매로 788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기러기농장가든은 농림부에서 지정한 위해 요소 중점관리(HACCP) 인증 사료만으로 사육하고 있으며, 손님들이 안심하고 맛있게 드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표메뉴는 기러기 요리이며 그 외에 오리불고기, 토종닭 요리인 한방백숙, 닭볶음탕의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매장 내부에는 별도의 룸도 존재하고 있어 프라이빗한 식사도 가능하다.

⊙ 군위 불로리 마애보살입상

- 홈페이지
https://www.khs.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불로리 산1번지

군위 불로리 마애보살입상은 지면에서 약 7㎞높이의 암벽에 조각된 높이 2.4㎞의 입상으로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형으로 봐서 조성 당시에는 나지막한 야산의 중턱에 있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현재는 도로 개설과 확장으로 인해 암반이 많이 절개되어 불상이 있는 곳은 가파른 절벽이 되었다. 커다란 바위를 다듬어 중앙을 감실 형태로 만들었고 그 안에 불상과 광배(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 대좌를 조각하였다. 감실 위에는 넓은 판석으로 처마를 만들어서 비를 피할 수 있게 했다.
불상의 얼굴은 네모졌고, 머리에는 낮은 관을 쓰고 있는데 보관에는 아무런 장식도 없다. 목에는 삼도(불상의 목에 가로로 표현된 세줄기 주름으로 생사를 윤회하는 인과를 나타냄))가 표현되었다. 가는 눈과 좁은 미간, 넓은 코, 얇은 입술과 튀어나온 입 등에서 부자연스러운 점을 느낄 수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하였고 발끝은 팔자 모양으로 좌우로 향하도록 하였다.
조각양식은 정면관으로 위아래의 조각기법이 같지 않으며 흉부 위쪽은 반입체적으로 반원각하고, 아래쪽은 얕게 부각하거나 선각함으로 회화적 표현을 가미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큰 편이다. 이 불상에는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조선 선조 때 홍판교의 손자 장사람 응경은 대대로 큰 부자라 하루 위천을 건너온 손님이 백명이 넘어 손님 접대 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안주인은 너무 많은 손님 접대가 귀찮아 시주하러 온 인각사의 도승에게 시주는 원하는데로 줄테니 손님을 줄이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했다. 그리하여 스님의 말대로 박타산 지류 절벽 암반에 미륵불상을 조각했더니 그때부터 차차 가산이 기울더니 망했다고 한다. 이곳에 살던 남양 홍씨는 한사람씩 이곳을 떠나 불상반대방향인 영천, 의성 등지로 이사했다고 한다. 현재도 이곳에 치성을 다하여 기도하면 영험이 있다하여 많은 사람이 이 불암을 보호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