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울

[서울 영등포구] 당산공원 당산공원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27길 12 (당산동3가)당산공원은 영등포구청역 바로 앞에 자리한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공원이다. 기억생생길과 지압보도, 야외서가, 무장애 놀이터를 갖추고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다. 기억생생길은 치매인식개선 및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만들어진 산책로이다. 치매예방수칙과 치매 조기검진의 중요성 등 치매와 관련된 정보가 담긴 안내판을 산책로 곳곳에 담아 놓아서 산책을 하면서 정보도 볼 수 있다. 지압보도는 자연친화적인 형태로 발 지압을 하며 산책할 수 있다. 야외 오픈 서가도 있어서 누구나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다. 무장애 놀이터는 바닥면에 턱이 없어 휠체어를 탄 아이도 이용할 수 있도록 민들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 더보기
[서울 구로구] 신도림테크노근린공원 신도림테크노근린공원 - 홈페이지 https://www.guro.go.kr/www/index.do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새말로 107-32 (구로동)지역 주민들에게 휴식과 여가 공간을 제공하는 중요한 시설이다. 신도림역 인근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며, 주변의 주거 및 상업 지역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공원 내에는 어린이 놀이터, 쉼터 등이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적합한 공간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860-2114 - 쉬는날 연중개방◎ 주위 관광 정보⊙ 문화철도 959 - 홈페이지 http://art959.com/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688 (신도림동)문화철도 959는 신도림 역사 내에 위치해 있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뛰어난 접근성과 안전성을 활용하여 문화 예.. 더보기
[서울 노원구] 화랑대 철도공원 화랑대 철도공원 - 홈페이지 https://korean.visitseoul.net/nature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608화랑대 철도공원은 공릉동 화랑대역 400m 구간에 조성된 불빛 정원이다. 경춘선숲길 마지막 구간에 위치하며, 서울의 마지막 간이역이던 옛 화랑대역을 공원으로 탈바꿈했다.실제 운행되었던 기차들이 전시돼 있으며, 불빛정원 개장에 이어 철도와 시간박물관, 기차카페 등을 운영하고 있다. 불빛정원은 비밀의 화원, 불빛터널, 음악의 정원, 불빛정원, 하늘빛정원, 생명의 나무, 환상의 기차역, 은하수 정원, 숲 속 동화나라, 반딧불 정원 총 10코스의 다양한 야간 경관 조형물로 이루어져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노원구청 여가생활팀 02-2116-0666 - 쉬는날 연중무.. 더보기
[서울 구로구] 디큐브시티 해바라기 공원 디큐브시티 해바라기 공원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624 (신도림동)신도림역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우수하며, 도심 속에서 자연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약 6,000평 규모로, 해바라기 광장, 야생화 계곡, 장미터널, 770석 규모의 야외극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밤에는 화려한 조명과 분수가 어우러져 가족, 친구, 연인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860-2114 - 쉬는날 연중개방◎ 주위 관광 정보⊙ 새벽집양곱창 - 새벽집양곱창 02-2296-0325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61길 2130년 전통을 가지고 있다. 대표메뉴는 곱창이다.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는 한식당이다.⊙ 팔각도 본점 - 홈페이지 https://8g.. 더보기
[서울 도봉구] 도봉서원 도봉서원 - 홈페이지 http://tour.dobong.go.kr/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90 (도봉동)도봉서원은 조선 전·후기의 가장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조광조와 송시열을 배향(配享: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냄)한 사액서원(賜額書院:조선시대 국왕으로부터 편액·서적·토지·노비 등을 하사 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으로 백사 이항복 등 저명한 시인 묵객들이 시문을 남긴 오늘날 서울 지역 내 가장 대표적인 서원이다. 비록 1871년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어 유적의 대부분이 멸실되었으나 서울 지역 내 다른 서원과 달리 사당의 기단과 옛 사료상의 도봉서원 유적으로 소개된 각석군(刻石群)이 서원 터 앞 계곡에 대부분 원형대로 남아 있어 유적의 경계를 비교적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유.. 더보기
[서울 마포구] 마포전차종점 3·1운동 만세 시위지 마포전차종점 3·1운동 만세 시위지 - 홈페이지 http://mfis.mpv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0 (마포동)마포 전차 종점은 현재는 서울 지하철 5호선 마포역에서 마포대교 진입 구간을 이른다.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 말까지 서울 중심부를 오가던 전차의 종점이 있던 곳이다. 이 장소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으로 1919년 3월 1일 오후 8시경 약 1,000명의 군중이 모여 독립 만세 시위를 벌인 3·1 운동 만세 시위지이다. 1919년 3월 1일,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고 오후 2시 탑골공원 팔각정에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며 수천 명의 학생들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행진을 벌였다. 종로에서 광교, 시청 앞, 남대문 등지를 거쳐 해가 질 무렵 오후 8시에 이곳 .. 더보기
[서울 서대문구] 백련사(서울) 백련사(서울)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백련사길 170-43서대문 백련산 자락에 있는 천년고찰 백련사는 신라 경덕왕 6년(747)에 진표율사가 창건하였다. 당시는 정토사라 하였는데 조선조 정종 원년에 백련사라 개칭하였다. 조선 2대 임금인 정종이 왕위를 태종에게 물려주고 난 뒤에 요양차 이곳에서 머무르기도 했다. 조선 임금 세조의 딸 의숙옹주가 20세에 남편을 잃고 비통함을 달래기 위해 돌아다니다가 여기서 해동묵(엄나무)을 보고 인생의 참뜻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 후 의숙옹주의 원당으로 정하면서 이름을 백련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일설에 의하면 경복궁에서 볼 때 서쪽에 있어서 서방정, 정토사라고 하였는데 어느 여름날 연못에서 갑자기 하얀 연꽃이 피어올라 백련사라고 명칭을 바꾸었다고 전한다. 선조 때 임.. 더보기
[서울 송파구] 서울 삼전도비 서울 삼전도비 - 홈페이지 https://www.songp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로 148병자호란 때 청에 패배해 굴욕적인 강화협정을 맺고, 청태종의 요구에 따라 그의 공덕을 적은 비석이다. 조선 인조 17년(1639)에 세워진 비석으로 높이 3.95m, 폭 1.4m이다. 비문은 이경석이 짓고 글씨는 오준이 썼으며, ‘대청황제공덕비’라는 제목은 여이징이 썼다. 비석 앞면의 왼쪽에는 만주글자, 오른쪽에는 몽골글자, 뒷면에는 한자로 쓰여 있어 만주어 및 몽골어를 연구하는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2010년 3월에 송파구 석촌동 289-3번지에 위치하던 비석을 고증을 통해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42-481-4650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 더보기

반응형